경력 소개

이창헌 (huhu)

개인전 총 8회
단체전 총 70여회
 
-주요 경력-
2025 KONIK (콜라보하우스조이/부산)
2024 퍼포먼스 사진 전시 (오큘러스센터/뉴욕)
2024 포스터 아트페어 (파이프챔버/인천)
2024 그레이트웨이브 (부산은행갤러리/부산)
2024 PORTAL42 (TP타워/서울)
2024 NFT KOREA FESTIVAL & GAUDI재단(스페인) 협업 전시 (에스팩토리/서울)
*더문랩스&스페인 가우디 재단(주최)
2024 미르를 만나다 *갤러리K 기획전 (서울타워,부산센터점)
2024 ART ORDINARY (신촌역 지하통로)
2023 Mint It 전시 (언커먼갤러리/서울) *aeon스튜디오(기획), art de finance(후원)
2023 AMA - ART DE FINANCE (트위터스페이스)
2023 메타프로젝트 - 나로부터 시작되는 우리 (마인크래프트,메타스테이션)
2023 The Oulim 신융합콘텐츠 글로벌 페스티벌 - 스웨덴 (스톡홀롬 한국문화원), 영국 (런던 사치갤러리), 일본 (아키바스퀘어) * 더문랩스 NFT / 문화체육관광부(주최), 한국콘텐츠진흥원(주관)
2023 웹3 크리에이터 패스티벌 우수상 - 더문랩스x남동문화재단 (남동소래아트홀/인천)
2023 MOMENTUM - 노르웨이문화재단x세번째공간 공동전시 (오프라운지_갤러리K/역삼,VERSE 갤러리/오슬로)
2023 NFT마켓플레이스 FLUX 오픈
2023 ㅁTo The Future (DDP/서울문화재단/아트드파이낸스)
2023 6인 초대전 (스파치오위르/롯데갤러리 일산)
2023 Art Dao (YMCA/도쿄)
2023 글리치 해커톤 (하나글로벌캠퍼스/인천)
2023 Art de Finance Partnership
2023 Life to Art. Art to Life. 더프리뷰 성수 (S-Factory/서울)
2023 공존하는 도시 NFT 전시(유플래닛 데시앙/광명)
2023 NFT KOREA FESTiVAL 2023 (DDP/서울)
2023 한국 디지털아트 크리에이티브 특별전 (코빗x3space.art)
2023 서울국제아트엑스포 2023 (코엑스/서울)
2022 위플 크리스마스 NFT 전시/경매 (WEPLE/서울)
2022 SDF2022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 (코엑스/서울)
2022 MABC 제 1회 NFT 콘테스트 동상 수상
2022 디지털 아트 세계로의 초대 (에스티아 디지털 아트 갤러리/용인)
2022 작가세션 작품발표 (갤러리K/서울)
2022 NFT Art Therapy By HDC x 3space Art x Klip Drops (HDC랩스_서초/오크밸리_원주/파크로쉬_정선)
2022 NFT 기획전 2 (수창청춘맨숀/대구)
2022 슈퍼레어,파운데이션 NFT 콜렉션 오픈
2022 오프노드스페이스 디지털 아트 전시 (서울)
2022 3space.art X 현대오일뱅크 NFT Staking 대회 우승 (3space.art,현대오일뱅크 사당점)
2022 초월 NFT DIGITAL ART 경매 (밸류익스체인지/서울)
2021 My First NFT with Berry 공모 수상 (M컨템포러리,베리옥션)
2021 아트허브 VR 가상 갤러리 전시 공모 당선 (아트허브 VR갤러리)
2021 갤러리k 개관전 (갤러리k/부산)
2021 < 미디어x무브먼트 > 영상작품 제작/극장 상영 (류블라나 무용극장/슬로베니아)
2020 코엑스 크리스마스 위시트리 공모 당선/전시 (코엑스/서울)
2020. 방송협찬 채널A < 하트시그널3 >
2014 아트 콜라보레이션<  lapalette with lee chang heon >
2014 컨버스 운동화 아트콜라보레이션 (컨버스 x DESIGN FESTIVAL)
2014 < 4대 공예 아트페어 > 마스코트 선정 (현대백화점/천호)
2014 드라마 협찬 jtbc < 우리가 사랑할 수 있을까 >
2014 아트리에 갤러리 레지던시
2013 롯데갤러리 연 경매
2013 예이랑 레지던시 / 제7회 개인전 (예이랑 갤러리/서울)
2013 베니스 비엔날레 프로그램 (Foundazione Querini Stampalia/이탈리아)
2012. Fountain Art Fair NY (Regiment Amory/뉴욕)
2011 한국현대미술제KCAF (예술의전당/서울)
2010 제5회 개인전 (갤러리아우라/서울)
2010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 아트페어AHAF (신라호텔/서울)
2010 화랑미술제 (벡스코/부산)
2009 제4회 개인전 (이브자리 이브갤러리/서울)
2009 제3회 개인전 (김재선갤러리/서울)
2009 Wonderful Pictures (일민미술관/서울)
2009 영아트 타이페이 (선월드 다이너스티호텔/대만)
2009 서울 오픈 아트페어 (코엑스/서울)
2008 제2회 개인전 (마린갤러리/부산)
2007 제1회 개인전 (프랑스문화원/부산)
2007 목욕탕 프로젝트 (대안공간반디/부산)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스페인 가우디 재단 아카이브, (주)이브자리, 부산대학교 병원, 서울대학교 병원, 경기도 교육청 외 개인소장 다수

8 solo exhibitions

2024 Gallery K Special Exhibition (Seoul Tower, Busan Center Branch)
2024 ART ORDINARY (Sinchon Station Underground Passage)
2023 Mint It Exhibition (Uncommon Gallery/Seoul) *aeon Studio (directed), art de finance (sponsored)
2023 AMA - ART DE FINANCE (Twitterspace)
2023 Metaproject - Us Starting From Me (Minecraft, MetaStation)
2023 The Oulim World Tour Exhibition - Sweden (Stockholm Korean Cultural Center), UK (London Luxury Gallery), Japan (Akiba Square) * The Moon Labs NFT /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osted),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supervised)
2023 Web3 Creator Festival Excellence Award - The Moon Labs x Namdong Cultural Foundation (Namdong Sorae Art Hall/Incheon)
2023 MOMENTUM - Norwegian Cultural Foundation x 3rd Space Co-Exhibition (Opraunge_Gallery K/Yeoksam,VERSE Gallery/Oslo)
2023 NFT Marketplace FLUX Open
2023 To The Future (DDP/Seoul Cultural Foundation/Arted Finance)
2023 Invitational Exhibition for 6 people in 2023 (Spatchiowir/Lotte Gallery Ilsan)
2023 Art Dao (YMCA/Tokyo)
2023 Glitch Hackathon (Hana Global Campus/Incheon)
2023 Art de Finance Partnership
2023 Life to Art. Art to Life. The Review Seongsu (S-Factory/Seoul)
2023 Coexistence City NFT Exhibition (U-planet Desien/Gwangmyeong)
2023 NFT KOREA FESTiVAL 2023 (DDP/Seoul) 
2023 WORLD ART EXPO in SEOUL 2023 (COEX/Seoul)
2022 WEPLE Christmas NFT Exhibition/Auction (WEPLE/Seoul)
2022 SDF2022 Seoul Design Festival (COEX/Seoul)
2022 MABC 1st NFT Contest Bronze Award
2022 Invitation to the world of digital art (Estia Digital Art Gallery/Yongin)
2022 Artist Session Presentation (Gallery K/Seoul)
2022 NFT Art Therapy By HDC x 3space Art x Klip Drops (HDC Labs_Seocho/Oak Valley_Wonju/Park Roche_Jeongseon)
2022 NFT Exhibition 2 (Soochang Youth Man/Daegu)
2022 Super Rare, Foundation NFT Artist Collection Open
2022 Off-Node Space Digital Art Exhibition (Seoul)
2022. 3space.art X Hyundai Oilbank NFT Staking Contest Winner (3space.art, Hyundai Oilbank Sadang Branch)
2022. Transcendent NFT DIGITAL ART Carry (Value Exchange/Seoul)
2021. My First NFT with Berry Buyer Award (M Contemporary, Berry Auction)
2021. Arthub VR Virtual Gallery Exhibition Hall (Arthub VR Gallery)
2021. Gallery K Opening Exhibition (Gallery K / Busan)
2021.  video production/theater screening (Ljublana Dance Theater/Slovenia)
2020. COEX Christmas Wish Tree Independent Selection/Exhibition (COEX/Seoul)
2020. Sponsored by Channel A 
2014. Art collaboration <  La Palette with Changheon Lee >
2014. Converse sneaker art collaboration (Converse x DESIGN FESTIVAL)
2014. Selected for  (Hyundai Department Store/Cheonho)
2014. Drama sponsored by jtbc 
2013. Venice Biennale Program  (Foundazione Querini Stampalia/Italy)
2012. Fountain Art Fair NY (Regiment Amory/New York)
2011. Korea Contemporary Art Festival, KCAF (Seoul Arts Center/Seoul)
2010. Asia Top Gallery Hotel Art Fair AHAF (Shilla Hotel/Seoul)
2010. Hwarang Art Festival (Bexco/Busan)
2009. Wonderful Pictures (Ilmin Museum of Art/Seoul)
2009. Art Show (Sunworld Dynasty Hotel/Taiwan)
2009. Seoul Open Art Fair (Coex/Seoul)
Other 50 exhibitions
 
Collecti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작가 노트

“작품의 목적은 모든 것이 모여서 하나를 정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개념은 일본 애니메이션 < 이웃집 토토로 >에서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믿는 사람 눈에만 보인 다’
보이는 것조차 보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성장인줄 알았던 때가 있었다.
(2000년도) 고1 때 과학 선생님 말에 웃으면서 말대꾸하던 나를 보고 말하셨다.
“처음 볼 때하고는 많이 변했네? 너 다대포 살지? 같은 동네 살아서 편하게 해줬더니 그렇게 기어오르고 말대꾸 하는 게 니들이 소위 말하는 "좀 컸다" 냐?”
난 오히려 그 반대였었다.
기어오르는 것이 아니라 더 좋아했을 뿐이다. 선생님이기도 했지만 같은 동네사람이었고
일요일이면 대중목욕탕에서 한번 씩 마주쳤던 터라 난 더 친하다고 생각했었다.
그렇게 생각했었던 선생님 이었지만 그런 행동이 오히려 나에게 비수가 되어서 가슴을 찔렀다.
- 그렇게 마음의 벽을 만드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
친구들과 어울려 다니면서 머리에 젤도 바르고 손가방도 들고 수제화도 신으면서
그 시절에 나는 그렇게 성인을 흉내 내는 것들이 진짜 멋 인줄로만 알았다.
보수동 근처에 아폴로라는 대형 장난감 가게가 있었다.
나는 그때 애니메이션 다간에 나오는 스카이세이버라는 로봇을 너무 좋아해서 가지고 싶었지만 그때 장난감을 좋아하면 아직도 애라면서 놀려댈 친구들이 무서워서 사지 못했던 장난감.
그래서 모자를 푹 눌러 쓰며 가게 사장님에게
"제 사촌동생이 스카이세이버 사오라던데 어디 있나요" 라고 말했던 내가 아직도 기억난다.
마치 지금은 “내 친구가 그러던데” 하면서 내 속내를 남에게 물어보던 것과 비슷한 모습이지 않을까.
당연히 그 사장님은 내가 가지고 싶어서 사는걸 알았을 것이다.
 
다시 본론으로 넘어가서 그렇게 시간이 흘러 성인이 되던 해에 < 이웃집 토토로 >를 보게 되었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대학생이었던 당시 나는 그것은 너무 큰 충격 이었다.
‘보이는 것은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오히려 성인이 되어버린 나는 다시 코 흘리던 어린 시절로 돌아가 버렸다.
어릴 때는 그렇게 어른이 되고 싶었는데 어른이 되고 나니 다시 아이가 되어버렸다.
그렇게 어릴 때 소중했던 기억들이 다시 스쳐지나가기 시작했다
잊고 지냈던 나의 레고들 그리고 그보다 더 어릴 때 타고 놀던 목마가 생각났다.
겨울에는 추울까 목마에게 이불을 덮어줬던 기억이 있다.
그렇게 나는 장난감 상자 속으로 다이빙을 하는 다이버가 되어 버렸다.
 
집 앞 가로등 밑 벤치에서 엄마와 나는 퇴근하고 돌아오는 아빠를 기다리면서 밤하늘을 자주 보곤 했다. 그때 엄마는 나에게 별들의 속삭임이 들린다고 했었다.
“뭐라고 하는데? 뭐뭐뭐 뭔데 말해줘..”
엄마가 뭐라고 했는지 대답은 정확히 생각나지 않지만 ‘해 와 달’ 이야기는 자주 들었던 기억이 있다.
 
대학교 3학년 프레젠테이션 시간 이었다. 나름 예술에 있어서 모든 것을 열어 두셨던 교수님 수업이었다. 그래서 대학 생활 중 유일하게 수업시간이 기다려지는 수업이기도 했었다.
특히 미대 특성상 대부분 실기위주의 수업이라서 무엇인가 자유롭게 말을 할 수 있는 시간이라서 너무 좋다고 생각했다.
사실은 그간 학교를 다니면서 동기, 선배, 교수님 들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듣기만 했었다면
그리고 반대되는 생각을 말하면 학교생활의 불이익이 두려워 말하지 못했었지만
그 시간은 오히려 솔직함이 플러스요인이 되어 돌아오는 시간이어서 쌓였던 울분을 토하는 기분으로 발표를 했었던 것 같다.
‘그래도 정중하고 나이스 한 모습이어야 해!’
“각자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작업을 하지만 결국 완성에 가까워 질 때 느끼는 희열은 동일하지 않을까요?
저는 그 완성을 위해서 작업을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저는 가장 원초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0년이 지난 지금도 결국 궁극의 목적은 이것이라고 생각한다.
영감이 떠올랐을 때의 그 느낌,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면서 다가오는 희열이다.
 
내 작품에 등장하는 패턴이나 도형 색깔들은 새로운 것은 없다.
그저 가장 원초적인 것들의 변형일 뿐이다.
가장 그리기 힘들었던 것은 동그라미였다. 별은 잘 그렸지만 항상 한쪽으로 기울어졌었고
정삼각형과 정사각형을 쉽게 잘 그렸었던 것 같다.
밝고 선명한 색은 크레파스에서 따온 것이다.
새 크레파스를 개봉 했을 때는 예쁜 스틱이 가지런하게 놓여있는 자체만으로도 기분이 좋았다. (오히려 새로 샀던 크레파스가 닳은 모습이 싫어서 계속 쓰던 크레파스만 썼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이유로 목마를 그리고 있다.
카타르시스의 근원은 결국 가장 원초적인 곳에 존재한다.
고통과 슬픔은 느껴봤기 때문에 피하고 싶은 것인 것처럼
희열도 느껴봤기 때문에 알게 된 것.
나는 그 근원을 찾아서 무한 반복 재생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목마 안에 무엇을 담는가?
때로는 나의 익살스러운 표정을, 또는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도 담는다.
오히려 사회 속에서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과는 달리, 동물은 본능적이고 솔직한 감정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순수한 감정들을 함축적으로 담아낸다.
그래서 동물을 그린 것은 아니지만 -